Meet Engineer

Engineering

신입

정규직

We Make a Future Classic Product!

채널톡은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돕는 ‘올인원 AI 메신저’입니다. 고객과 언제 어디서나 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비즈니스의 방향성을 고객으로부터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있어요.

현재 '고객이 답이다'라는 철학으로 고객사의 고객 소통 경험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CRM 데이터 기반의 상담 경험 설계와 AI를 통한 반복 문의를 빠르게 처리해 CS 효율화부터 고객 경험 개선까지 채널톡 하나로 해결해요.

수많은 온라인 비즈니스의 본질적인 문제를 풀어낸 결과 한국 너머의 시장에서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일본 시장에서 점유율 20% 이상으로 업계 1위와 매출 성장세도 B2B 업체 중 아시아에서 가장 빠른 수준이에요. 아시아에서 인정받은 제품력을 발판 삼아 글로벌 SaaS 기업으로 거듭나고자 미국 시장에 적극 진출하고 있습니다.

채널톡 출시 이후 이와 같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핵심은 ‘제품’입니다. 좋은 제품이 최고의 세일즈, 마케팅이라고 믿습니다. 채널팀 전체 임직원 중 절반 이상이 개발자로 이들 모두가 단 하나의 제품을 만드는데 집중합니다. 구글 검색, 아이폰처럼 한 세대를 상징할 “미래의 클래식” 프로덕트를 목표로 최고의 인재들과 함께합니다.

하고 싶은 일이 참 많습니다! 많이 기대되는 앞으로의 여정 가운데 함께할 채널톡의 Meet Engineer를 찾습니다!
함께 할 팀을 소개해요!
  • Meet 팀은 채널톡에서 실시간 전화 상담 경험을 혁신하는 핵심 제품팀입니다.
  • 실시간 전화 상담 경험을 더 자연스럽고 명확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WebRTC 기반 음성/영상 통화 인프라, SIP 연동, DSP(음성 처리) 등을 직접 설계하고 개선하고 있어요.
  • 이를 위해 SIP 기반 전화망과 WebRTC 간의 미디어 변환, Opus/PCM 코덱 처리, 지터 버퍼 최적화, 멀티 리전 라우팅 등 서비스 깊숙한 레이어까지 직접 다루고 있습니다. 단순히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통화 품질 자체를 정의하고 개선하는 팀이에요.
  • Meet 기능에 대한 고객의 수요가 급증하여 새로운 팀원을 찾고 있으며, 좋은 분과 함께 깊이 있는 문제를 풀어나가고 싶습니다.
어떤 기회가 있나요?
  • 채널톡의 Meet팀에서는 다음과 같은 높은 난이도의 커리어 성장을 얻을 수 있습니다.

  • 1. Real-time Voice Infra 경험
  • WebRTC·SIP·RTP pipeline을 직접 다루며 지터 버퍼, Opus/PCM 코덱 등 저지연 오디오 기술 습득
  • Media server/SFU 기반 인프라 설계 및 최적화 경험

  • 2. AI 기반 실시간 오디오 기능 개발 경험
  • Realtime STT/TTS
  • Voice AI와 Realtime API 기반 기능 설계
  • 음성 기반 상담 자동화 기술 경험

  • 3. MSA 기반 대규모 실시간 시스템 설계 경험
  • 지역(리전) 기반 failover
  • 트래픽 피크 시간대 서비스 안정성 확보 경험
  • 성능·품질·비즈니스 KPI를 함께 다루는 제품 개발 경험

  • 4. 제품 오너십을 갖고 전체 사이클을 경험
  • 기획 → 개발 → 배포 → 지표 분석 → 개선 사이클을 모두 담당
  • Feature 성공률, 배포 안정성, 지표 개선 등 직접 결과가 KPI로 연결
어떤 일을 담당하나요?
  • Go, Java 기반 MSA 서비스 개발
  • WebRTC·SIP·RTP·지터 버퍼 등 실시간 음성 인프라 설계/개선
  • Realtime AI(STT/TTS/Voice AI) 적용 및 성능 개선
  • Meet MSA Mesh 구조 운영 및 성능 안정화
  • 신규 기능 기획·개발·배포
  • 사용자 피드백과 릴리즈 지표 분석 후 개선 사이클 수행
  • 일본·한국 시장을 동시에 지원하는 실시간 서비스 운영
  • 음성 품질 관련 문제 탐지/분석/해결
어떤 역량과 경력이 필요한가요?
  • 컴퓨터 공학 또는 관련 학과 전공 또는 동등한 CS 역량
  • MSA 설계 및 개발 경험
  • WebRTC 엔진 개발 혹은 실시간 음성 인프라 경험
  • 실시간 환경의 지연/패킷 손실/네트워크 변동 처리 경험
  • Realtime Voice AI 적용 경험 (STT/TTS/실시간 음성 모델 연동 등)
  • 제품 또는 기능을 기획부터 개발·배포까지 수행한 경험
  • 팀과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및 문제 해결 능력
  • 실시간 제품 특성에 대한 이해와 책임감 있는 운영 경험
이런 점이 있으면 더 좋아요!
  • 대규모 실시간 트래픽 서비스 운영 경험
  • WebRTC SFU/SIP/RTP/코덱 단 경험
  • Opus/PCM 등 오디오 코덱 처리 경험
  • 지터 버퍼 최적화 경험
  • AI 기반 음성 기능(Voice Activity Detection, Voice Enhancement 등) 개발 경험
  • 일본 시장 또는 해외 환경에서의 통신 품질 대응 경험
  • Golang 기반 서버 개발 경험
  • 대규모 모니터링/관측성(obsrvability) 구축 경험
  • 제품 KPI를 직접 개선해본 경험
어떤 방식으로 채용하나요?
  • 일반적으로 서류 제출 - 사전기술인터뷰(온라인) - 1차 인터뷰 - 2차 인터뷰 - 3차 인터뷰 순서로 진행됩니다.
  • 제출하신 서류를 통해 팀에 필요한 기본적인 문제해결 역량을 가지신 분인지 확인합니다. 지금까지 진행하셨던 프로젝트들과, 도전 과제들을 어떻게 해결하셨는지 적어주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 사전기술인터뷰는 기본적인 구현능력과 CS 기초에 대한 테스트를 30분~45분 진행됩니다.
  • 1차 인터뷰는 1시간~2시간 소요되며, PS 문제 풀이를 진행합니다. 더불어 학부 수준의 CS 지식을 물어보며 라이브 코딩테스트도 함께 진행됩니다.
  • 2차 인터뷰는 1시간 30분~2시간 소요됩니다. 가장 깊게 쌓아오신 대표 분야를 주제로 기술적인 견해를 나눕니다. 서로 솔직한 질문과 답변을 나누는 시간을 갖으며 채널과 핏이 잘 맞는 분인지 확인합니다.
  • 3차 인터뷰는 대표님과의 인터뷰로, 보다 깊이 있는 직무적인 이야기와 컬쳐핏을 확인합니다.
  • 채용 프로세스는 유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습니다.

채널팀이 더 알고 싶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