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 Engineer

Engineering

경력

정규직


We Make a Future Classic Product!

채널톡은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돕는 ‘올인원 AI 메신저’입니다. 고객과 언제 어디서나 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비즈니스의 방향성을 고객으로부터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있어요.

현재 '고객이 답이다'라는 철학으로 고객사의 고객 소통 경험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CRM 데이터 기반의 상담 경험 설계와 AI를 통한 반복 문의를 빠르게 처리해 CS 효율화부터 고객 경험 개선까지 채널톡 하나로 해결해요.

수많은 온라인 비즈니스의 본질적인 문제를 풀어낸 결과 한국 너머의 시장에서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일본 시장에서 점유율 20% 이상으로 업계 1위와 매출 성장세도 B2B 업체 중 아시아에서 가장 빠른 수준이에요. 아시아에서 인정받은 제품력을 발판 삼아 글로벌 SaaS 기업으로 거듭나고자 미국 시장에 적극 진출하고 있습니다.

채널톡 출시 이후 이와 같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핵심은 ‘제품’입니다. 좋은 제품이 최고의 세일즈, 마케팅이라고 믿습니다. 채널팀 전체 임직원 중 절반 이상이 개발자로 이들 모두가 단 하나의 제품을 만드는데 집중합니다. 구글 검색, 아이폰처럼 한 세대를 상징할 “미래의 클래식” 프로덕트를 목표로 최고의 인재들과 함께합니다.

하고 싶은 일이 참 많습니다! 많이 기대되는 앞으로의 여정 가운데 함께할 채널톡의
DevOps Engineer를 찾습니다!

[채널팀이 더욱 궁금하다면?🧐]
어떤 기회가 있나요?
  • 기술 리더십: 6명의 작지만 강한 팀에서 주요 인프라 결정에 직접 참여합니다.
  • 글로벌 스케일: 한국, 일본, 미국 시장을 지원하는 글로벌 인프라 설계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최신 기술 스택: Kubernetes, GitOps, Platform Engineering 등 최신 DevOps 트랜드 실무를 적용합니다.
어떤 업무를 담당하나요?
  • 가파르게 늘어나는 사용량을 처리하기 위해 기존의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리뷰하고 좀 더 확장 가능한 구조로 개선합니다.
  • 내부 배포 시스템을 만들어 다양한 환경에 편하게 배포 할 수 있게 개발 및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 개발팀과 지속적으로 상의하여 기존 인프라 및 서버 기능 개발 개선을 위한 의견을 제시합니다.
  • GHA(Github Action)를 이용해서 코드의 테스트, 빌드 및 필요한 경우 배포까지 자동화하고 있습니다.
  • ArgoCD를 이용해 기능 개발환경의 배포를 자동화하고 있습니다.
  • AWS 전반을 관리하고 Kubernetes를 운영합니다.
  • 비효율적인 인프라를 개선해서 비용을 최적화합니다.
  • Terraform을 이용해 Infrastructure as Code 기반의 운영 자동화를 구축합니다.
  • Helm chart 및 Kubernetes manifest 파일로 Kubernetes 인프라를 코드화하여 관리합니다.
  • Datadog, CloudWatch 및 Sentry와 같은 외부서비스를 이용하여 APM 모니터링, 알람시스템에 이용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서비스를 위해 인프라 레벨에서 고민 하고 대응합니다.
  • ISMS 인증에 대비합니다.
어떤 경력과 역량이 필요한가요?
  • 문제 해결 능력: 복잡한 분산 시스템 이슈를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해결하는 능력
  • Kubernetes 실무: 프로덕션 환경에서 Kubernetes 클러스터 운영 및 트러블슈팅 경험
  • Infrastructure as Code: Terraform 등을 활용한 인프라 자동화 구현 경험
  • 프로그래밍 능력: 하나 이상의 언어를 능숙하게 사용하시는 분
  • 학부 수준의 Computer Science 지식
이런 점이 있으면 더 좋아요
  • 대규모 트래픽 경험
  • Platform Engineering: 내부 개발자 플랫폼(IDP) 구축 또는 셀프서비스 도구 개발 경험
  • 마이그레이션 경험: 레거시 시스템을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로 전환한 경험
  • GitOps 실무: ArgoCD, Flux 등을 활용한 GitOps 워크플로우 구현 경험
  • 보안 자동화: DevSecOps 도구 체인 구축 및 컴플라이언스 자동화 경험
  • 비용 최적화: FinOps 실무 경험 및 클라우드 비용 30% 이상 절감 사례
  • 오픈소스 기여: Kubernetes, Terraform 등 인프라 관련 오픈소스 프로젝트 기여
  • Istio 서비스 메쉬 운영: Istio 운영 하면서 트러블 슈팅 경험
어떤 방식으로 채용하나요?
  • 일반적으로 서류 제출 - 직무 및 핏 인터뷰(최대 2시간 소요) - 최종 인터뷰 순서로 진행되며, 경우에 따라 추가 면접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제출하신 서류를 통해 팀에 필요한 기본적인 문제해결 역량을 가지신 분인지 확인합니다.
  • 지금까지 진행하셨던 프로젝트들과, 도전 과제들을 어떻게 해결하셨는지 적어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직무 인터뷰 및 핏 인터뷰에서는 학부 수준의 CS 및 DevOps 관련된 질문을 합니다.
  • 단순 지식의 유무가 아닌 어느정도 이해를 하고 있는지와 문제를 접근하는 방식및 문제 해결 능력을 확인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 이와 더불어 채널과 핏이 잘 맞는 분인지 알기 위해 편안하게 서로 질문을 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됩니다.

채널팀이 더 알고 싶다면